티스토리 뷰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비만율 급증 분석
주요 연구 결과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이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 1만 1,216명을 대상으로 13년간(2008-2021) 추적 분석한 결과,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비만율이 일반인보다 3.6배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 증가 현황
전체 환자 비만율 변화
- 2008년: 13.1%
- 2021년: 29.8%
- 증가폭: 16.7%포인트 (2.3배 상승)
일반인과의 비교
같은 기간 일반 인구의 비만율은 2008년 30.7%에서 2021년 37.1%로 6.4%포인트만 증가한 반면,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훨씬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성별 차이 분석
구분 | 2008년 | 2021년 | 증가폭 |
---|---|---|---|
남성 | 15.1% | 37.7% | 22.6%포인트 |
여성 | 9.2% | 15.0% | 5.8%포인트 |
남성 환자의 비만율 증가가 여성보다 약 4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사 관련 지표 악화
비만율 증가와 함께 대사 증후군 관련 혈액 지표들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 혈당: 정상 범위(70-99mg/dL)를 초과하여 상승
- 총콜레스테롤: 정상 범위 내에서 꾸준히 증가
- 중성지방: 크론병 환자의 경우 2008년 적정 수준에서 2021년 경계 수준인 150mg/dL 이상으로 상승
연구의 의의
이번 연구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양인 환자들의 비만 유병률 증가를 처음으로 입증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백인 중심으로 진행되어 동양인 환자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부족했던 상황에서, 동양인 비만 기준(BMI ≥25kg/m²)을 적용한 맞춤형 치료 근거를 제시했다.
임상적 시사점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식이 조절 제한, 장 절제 수술 병력, 복용 약물 등이 체중과 대사에 영향을 미쳐 일반적인 비만 관리법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환자 개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황성욱 교수는 "환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고 장기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소화기학 저널(Journal of Gastroenterology, 피인용지수 6.9)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댓글